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말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감가상각이 어떻게 재무제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주제 입니다. 사실 이 주제는 투자은행 인수합병 인턴쉽 인터뷰를 볼때 단골 질문 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Walk me through how depreciation going up by 10$ would affect the statements.
저도 인터뷰시 이 질문을 거의 단골로 질문 받았고 또 저희 회사 인턴 인터뷰를 할때 항상 물어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질문을 함으로써 학생이 얼마나 기본 회계에 대한 바탕이 깔려있고, 얼마나 논리적으로 재무제표를 보는지 테스트를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3개의 재무제표는 서로 연결되있기 때문에 하나의 변화를 물어봄으로써 3개의 재무제표가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테스트하는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일단 감가상각의 기본 정의와 왜 쓰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가상각은 회계와 재무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감소는 주로 자산의 노후화, 기술적 구식화, 물리적 마모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가상각은 기업이 자산의 원가를 해당 자산의 사용 기간 동안 분배하여 비용으로 인정하는 방식으로, 세후 이익을 조정하고 자산의 가치를 올바르게 반영하여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산을 구입한 경우, 그 자산의 비용을 한 번에 전액을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대신, 감가상각을 통해 자산의 사용 기간 동안 발생하는 비용을 공정하게 분배하여 기업의 이익과 재무상태를 정확하게 나타냅니다.
감가상각의 주요 특징과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감가상각 방법: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 가지 감가상각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형 감가상각:
사용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을 감가상각 비용으로 인정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말해, 자산의 원가에서 잔여 가치를 제외한 금액을 사용 기간으로 나누어 연간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합니다.
- 이중 감가상각:
선형 감가상각 비율의 두 배로 연간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사용하여 초기에 더 많은 감가상각 비용을 인정하고 후기에는 적게 인정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자산의 사용 초기에 높은 감가상각 비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생산량에 따른 감가상각:
생산량이 자산의 감가상각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경우에 사용됩니다. 생산량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이 변동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가상각의 목적:
감가상각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성실한 회계 처리:
감가상각은 자산의 비용을 기간에 걸쳐 정확하게 분배하여 회계 처리를 보다 정확하게 합니다. 자산의 가치 반영: 감가상각을 통해 자산의 노후화나 기술적 구식화에 따른 가치 감소를 인정합니다.
- 세후 이익 조정:
감가상각은 기업의 세후 이익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어 세금 부담을 완화시킵니다.
- 재무성과 측정:
감가상각을 고려하여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여 기업의 재무성과를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자 그럼 이제 Walk me through how depreciation going up by 10$ would affect the statements 이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여 볼까요 ? 한국말로 변역하면 감가상각이 10$만큼 올라가면 3개 재무제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줘 라는 질문 입니다.
여기서 인터뷰 보시는 분들에게 팁을 드리자면 재무제표 영향에 대해 답변할때 항상
1- Income statement
2- Cash flow statement
3- Balance sheet
순서대로 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하는게 좋겠다 라는게 아니라 무조건 이 순서 대로 하셔야합니다. 왜나하면 마지막에 대차대조표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자산이 증가하면 현금 흐름이 감소하는 반면,
부채가 증가하면 현금 흐름이 증가합니다.
Income statement:
세율이 40%라고 가정할 때 EBT은 10달러 감소합니다, 당기순이익은 $6 감소합니다.
Cash flow statement:
상단의 당기순이익은 6달러 감소합니다. 그 후 감가상각은 다시 추가되는 비현금 비용이므로 전체 현금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6)+(+10) CFO에서 4달러가 증가합니다. 다른 곳에는 변경 사항이 없으므로 전체 순 변경 사항은 현금이 $4 증가합니다.
Balance sheet:
(Asset side)
PP&E는 감가상각으로 인해 자산 측면에서 10달러 감소합니다.
감가상각으로 인해 10달러 감소하고 Cash flow statement의 변경으로 인해 현금이 4달러 증가합니다. 전체적으로 자산은 $6 감소합니다.
(Liabillites & Shareholder's Equity side)
Income statement의 당기순이익은 Retained earing으로 흘러 들어옵니다. 즉, 순이익도 $6 감소하므로 부채 및 주주 자본이 $6 감소하고 양쪽 사이두 모두 $6 씩 감소 했으니 잘 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설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A | Finance |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st of Equity (자본비용)의 이해와 CAPM 개념 + 공식 (0) | 2023.08.02 |
---|---|
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이란 무엇일까 ? (0) | 2023.08.01 |
EBITDA란 무엇일까 ? EBITDA 개념, 공식, 쓰임새 정리 (0) | 2023.07.31 |
EPS (주당 순이익) 이란 ? 쉬운 설명 + 쓰임새 (0) | 2023.07.30 |
많이 사용되는 3개 멀티플 (Multiple) - PER, PBR, EV/EBITDA (0) | 2023.07.29 |